반응형

요즘은 차량에 블래박스는 기본으로

하나씩은 장착을 하고 있는 추세죠.

예전에 1채널로 시작해서 HD나 VGA급의 제품이

나왔을때만 하더라도,

이렇게 블랙박스 보급이 잘 될 줄은 모르던 시절도 있었는데,

이제는 4채널과 2채널이 주류가 되었고,

화질도 FHD를 넘어서 QHD나 4K까지 출시가 된 상황입니다.

 

다양하게 제품들이 나오는 시점이지만,

여전히 걱정하는 것 크게 변화하지 않은 것이 있다면,

아마도 방전걱정 그리고 주차모드 활용을 위한 보조배터리 활용이 아닐까 싶습니다.

 

예전에 비해서 물론 보조배터리 종류도 다양해지긴 했으나,

여전히 부담스런 가격..

그리고 안정성에 대한 걱정으로 장착을 미루고 계신 분들 분명히 계실텐데요.

 

 

 

사실 보조배터리의 경우 결국 고려해야할 부분은 아래 정도인 듯합니다.

1. 안정성이 높은 보조배터리.

2. 함께 필요한 용량과 성능이 뒷받침 되며 가격적인 메리트가 있는 제품

이 정도가 사실 보조배터리를 고를 때 고려하는 사양이라 생각되는데,

여기서 안정성에 대한 부분이 걸리는 경우가 많을겁니다.

 

 

 

오늘 소개드릴 모델은,

안정성 부분에 좀더 신경을 썼으며, 급속충전 등의 기능 적인 활용도를 높인 반면,

가격적인 부분은 낮춘 모델인 만도 SP1000입니다.

브랜드야 블랙박스 뿐만 아니라, 자동차 부품 등을 생산하는 만도라 믿을 수 있기에,

더 이야기를 하지는 않겠습니다.

 

SP1000의 경우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활용한 제품입니다.

친환경 그리고 안정성이 높은 리튬 인산철을 활용한 배터리이기에,

믿을 수 있는 수명과 안정적인 전력공급 그리고 간혹 이슈가 되기도 하는

배터리 폭발이나 화재위험이 적습니다. 

 

이러한 안정성에 대한 부분은 

고민을 하는 부분들이 상당히 많은 부분이기도 하죠.

 

사실 주로 주행이 적은 분들이 배터리완충이 잘 안되거나,

혹은 소비전력이 큰 모델 사용을 위해서 보조배터리를 달곤 하는데,

보조배터리 충전에 오랜시간이 걸리면 안되겠죠.

SP1000의 경우는

급속충전 기능이 탑재되어있기에, 1시간 정도의 충전 만으로도

30시간 이상의 활용이 가능합니다.

주행이 적어 주차모드가 너무짧거나 방전이 걱정되는 분들의 경우에는,

상당히 사용하기가 좋은 보조배터리라 할 수 있습니다.

 

 

안정성에 대한 이야기를 조금 더 하자면,

추가적으로 배터리에 무리가 가지 않고 안전한 사용을 하게 하기위해서

과충전/과방지 기능과 2중 안심차단기능이 지원이 되기에,

원체 안정적인 리튬인산철 배터리에 이러한 추가기능을 더함으로

상당히 뛰어난 안정성을 자랑합니다.

 

물론 이와 함께, 특징적인 것이

가성비도 정말 좋게 나온 모델이라는 건데요.

 

브랜드가 있고 보조배터리 안정성이 뛰어날 경우

사실 가성비를 갖추기가 참 어려운 편인데,

SP1000의 경우에는 이러한 부분까지도 잘 고려가 된 보조배터리라 할 수 있습니다.

 

안정성과 가성비 그리고 효율성 이 세가지가 보조배터리의 필수 요소라 할 수 있는데,

이런 부분을 모두 맞춰 나온 제품이SP1000이구요.

 

아마 4채널을 달 경우등에는 하이앤드급의 고성능

그리고 고용량의 모델을 찾는 분들도 계실텐데

SP1000이 출시되면서 함께,

고성능인 SP2000 TANK도 출시가 되었기에

고성능의 제품을 찾는 분들은 이 제품을 확인해 보시면 좋을겁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제 다가올 여름 올 여름은 유독 무더위가 극성을 부릴 거라는 이야기가 있어서,

걱정이 이만 저만이 아닙니다.

 

더운 여름이 되면, 옅어진 썬팅에 대한 재시공 관련된 부분이나,

신차 출고로 여름을 대비하기 위해 열차단이 좋은 필름을 찾는 분들이 유독 많아지는데요.

 

 

사실 해당하는 부분은 어차피 1년만 한 계절만 사용하고 말 차량이 아니기 때문에,

초기 차량이 출고 될 때 최대한 꼼꼼히 시공을 할 필름을 보셔야합니다.

 

특히나 쿠폰썬팅 등으로 할 경우,

빛차단이나 열차단 혹은 시인성 등에 대한 아쉬움으로 인하여,

재시공을 하는 등 추가적인 비용과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기에,

처음 차량을 선택하고 서비스 혹은 시공을 받기 전에 최대한 많이 알아보고 시공을 하시는게 좋구요.

 

 

요즘 가성비로 많이하는 필름 중 하나가 바로 만도 썬팅 일텐데요.

반사 / 비반사로 나뉘는 만도 틴팅 필름의 경우에는

간단하게 네이밍으로 반사인지 비반사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MR시리즈가 반사 필름 / M시리즈가 비반사 필름이라고 생각하시면되구요.

 

 

우선 썬팅을 보실 때는 가격적인 부분 역시 고려를 할 수 밖에 없는데요.

만도 M시리즈의 경우 해당하는 필름이 가진 성능 대비,

상당히 가격대가 저렴하게 잘 나온 편입니다.

 

동급 필름들과 비교 했을 때, TSER등의 열차단 수치도 상당히 괜찮은 편이구요. 

 

 

 

물론 필름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 빛과 열차단 이기에

해당하는 부분도 중요하지만,

여기에 함께 확인을 해야하는 부분이,

프라이버시 보호는 잘되는지, 그리고 너무 어둡지는 않은지를 따져보셔야합니다.

 

흔히 시인성이라고 하는 부분은,

운전에 불편을 느끼지 않게 하기 위해서라도

좋은 필름으로 선택을 하시는게 좋구요.

 

 

말씀드린 시인성과 프라이버시 보호를 충족하고,

여기에 빛/열차단 특히 TSER수치까지 괜찮은 필름이라면

이미 80%정도는 괜찮은 선택을 하신거라 볼 수 있는데,

내구성도 꼭 체크를 해보시고 보증기간도 꼼꼼하게 확인을 하셔야합니다.

 

 

만도 브랜드야 두말할 필요 없이 충분히 믿을 만한 브랜드라 할 수 있고,

워런티 10년의 보증기간을 보이는 필름이기에,

신뢰도도 상당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가지 종류의 M시리즈인데요.

순서대로 M90 > M80 > M60의 등급을 보여줍니다.

M80이 중간 급이지만, 중간급 필름 치고는 상당히 높은 수준의 차단률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새로 차를 뽑으셨거나,

재시공을 하시는 경우,

가성비도 괜찮고, 외관이나 전체적인 밸런스가 좋은 필름으로 하시기를 원한다면,

한번쯤은 확인해보면 좋은 필름이 M시리즈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AMD의 라이젠 CPU의 경우에,

아직까지 인텔만큼은 아니라 하더라도 계속해서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는 상황인데요.

그로 인해서, 조립PC 부품으로도 상당히 많이 

선택을 받고 있기도 하죠. 

 

본인이 원하는 사양에 맞게, 

CPU의 선택도 중요한데요.

 

한번 해당하는 CPU선택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도록 할게요.

 

 

먼저 이야기할 건 바로 내장그래픽의 효율이 뛰어난,

3200G와 3400G입니다.

 

개인적으로 말씀드리는 건, 가격차가 크지 않다면

되도록 3400G쪽으로 가실것을 권해드리고 싶구요.

특히나 롤이나 서든 카트 등의 간단한 게임도 함께 즐기고 싶은 경우라면,

3400G가 훨씬 원할한 게임 진행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3400G로 조립을 하시는게 좋다 봅니다.

 

가성비 견적을 위해서 외장 사용을 안하는 경우이기에,

보드는 320정도로 맞추셔도 되구요.

 

게임을 하기위해 외장그래픽 장착을 하셧을 경우에도,

G시리즈 CPU를 선택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물론 뭐 나쁘지는 않습니다.

다만 위 CPU들이 가성비가 좋은건 내장그래픽 성능도 상당히 괜찮기 때문이거든요.

 

게임을 위해서 CPU선택을 하는 경우라면, 

외장그래픽까지 추가를 한 경우면 라이젠 3500이나 3600정도의 CPU를 장착해주시는게 좋습니다. 

 

 

 

사실 3700이상은 물론 효율이 나쁘다 말할 수는 없지만,

그래픽카드 선택에 따라서 꽤 달라지는 부분이기에,

본인이 선택한 외장그래픽 카드가 어떤 건지에 따라서 CPU는 맞춰주시면됩니다.

 

또한, 단순히 게임사양에 맞추는 것이 아니라,

방송 까지 고려를 하시는 분들의 경우에는

한단계정도는 CPU를 업글 해서 선택하는게 좋기도 하구요.

 

 

가끔이기는 한데,

인텔과 라이젠 중 어떤게 더 좋아요?

하는 질문을 꽤 자주 접하게 됩니다.

 

물론 벤치 등을 통해서 나온 결과 등을 토대로 이런저런 이야기가 많이 나오기도 하고

저역시도 전문가 수준의 내용을 알지는 못하기에,

그냥 일반적인 내용을 언급해보자면,

멀티작업이나 인코딩 등의 코어스레드 활용이 극대화 되는 플 쓰실 경우면

라이젠을 선택하시고,

그게 아닌 경우라면 인텔이 좀 더 나을 거라 생각됩니다.

뭐 그격차도 이제는 그리 크지 않은 수준이 되었지만요.

 

 

반응형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