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존에 노트북을 활용하던걸 처분하고

새로 노트북을 사서 교체한 상태입니다. 

다른 거 인터넷 등은 잘되는 상황인데요.

문제가 되는 게 기존에 사용하던 프린터를 연결을 했는데,

이상하게 출력을 하면 출력이 안됩니다.

새로산 노트북에 문제가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말씀하신 경우면

윈도우 설치 시 알아서 랜카드 드라이버나 

기타 드라이버는 잡힌 상황이나,

프린터 드라이버가 제대로 설치가 안되서 일어나는 문제일 확률이 높다고 보시면 됩니다.

프린터 드라이버 한번 설치 하고 다시 해보세요 새로 바꾼 노트북에서 드라이버가 없어서 그럴수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노트북이랑 모니터 연결하려면 뭐가 필요할까요?

게이밍 노트북을 데탑 대신 쓰고있는데 화면이 좀 작아서 모니터를 따로 사서 연결하려고 하거든요!
무슨 선을 어떻게 연결하려면 되고

가능여부는 어떤걸 확인 해야 하는지가 궁금합니다.

노트북 모니터 그리고 별도 모니터와 듀얼로 사용하고 싶어서요.

 

 

말씀하신 부분의 경우 요즘 노트북의 경우에는 HDMI케이블이나 DP 활용을 해서 연결하긴하죠
노트북에따라 외부로 영상보내는 포트가 지원되는게 다르니 확인하고 케이블 구매하셔야합니다.

오래된 제품의 경우에는 DVI나 RGB쪽만 제공이 되는 경우도 있기에,

이 경우도 고려하셔서 케이블 등 선택하셔야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라이젠 3400g 글카말인데요

라이젠의 경우에 내장그래픽카드 성능이 상당히 좋다고 이야기는 들었습니다.

이게 지포스 gtx1650요거보다 좋나요?

아니라면 어느정도 사양이 해당하는 3400G내장그래픽과 비슷한 성능이라고 봐야할까요?

 

일단 둘을 비교하자면

당연히 지포스GTX1650쪽이 더 성능이 좋습니다. 

흔히 3400G 내장그래픽 베가 시리즈의 경우,

GTX750정도의 성능으로 이야기를 합니다.

게임으로 이야기를 드리자면

롤이나 서든등의 게임은 원할하게 돌아갈 정도의 성능이며

오버워치도 돌릴려고 맘먹으면 돌릴 수는 있으나 좀 잘 돌리고 싶다면

옵션 낮춰서 하면 어찌저찌 가능한 수준이겠죠

다만 배그 등의 고사양 게임은 안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친구가 3700을 하나남는다고 준 상황입니다.

지금 인텔 i5 6400쓰는데요 라이젠 3700으로 교체되나요

만약에 교체 안된다면 어떤 부분을 갈아야 할까요?

램 등도 바꿔줘야 되나요?

 

 

우선적으로 현재 사양에서 라이젠 3700을 활용하려고 하신다면

가장먼저 보드 교체 부터 진행을 하셔야합니다. 

 

현재 인텔 보드에서는 라이젠 3700의 활용이 불가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라이젠으로 교체할라면 메인보드도 라이젠용 메인보드로 교체 하셔야하구요.

램의 경우에는 어차피 둘다 DDR4사용하는 CPU들이기에,

램은 교체안하셔도됩니다.

 

램의 경우는 기존 인텔 2세대~4세대 정도까지 DDR3활용이 되었는데

거기서 변경하는거 아닌이상 그래도 활용 가능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그래픽카드 설치하려는데 안되는데요
3400g 쓰는데 왜 오류가자꾸날까요

CPU에 내장그래픽이 적용되어있다고 들었는데

nvidia 지포스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설치하면 오류가 계속 납니다.

 

혹시나 라이젠 3400G 쓰신다는 말씀이시고

내장그래픽인데 nvidia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를 설치하고자 하시는 거라면

이건 잘못 선택해서 까시는 걸로 보입니다.


라이젠3400G면 내장그래픽 쓰시는게 맞다면,

이경우 AMD쪽에서 드라이버 받으셔야합니다.
​물론 3400G 내장그래픽 카드 성능이 꽤 좋은 제품이기는 하나

nvidia 계열은 아닙니다.

 

https://www.amd.com/ko/support

위사이트에서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선택해서 받으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무거운 프로그램을 돌리거나 하지않는 상황입니다.

사무용 PC라 워드나 엑셀 정도만 사용을 하고 있고,

라이젠 4350G CPU해서 사용을 하고 있는데,

보니까 라이젠은 램 오버클럭 해줘서 써야한다는 말들이 꽤 많이 보여서요.

라이트하게 쓰고 지금 현재 딱히 불편함 등이느껴지지 않는다 하더라도

오버클럭을 램은 해줘야하는 게 맞는걸까요?

 

 

 

 

라이젠의 경우면 램 오버는 사실 보드에서 지원이 되기에

굉장히 간단하게 오버클럭을 해서 사용을 할 수 있기는 합니다.

다만 이게 게이밍으로 활용을 하거나 높은 사양이 필요한 경우라면

당연히 오버클럭 어느정도 맞춰서 쓰면 좋기야 하겠지만,

무조건은 아닙니다. 사무용 제품을 굳이 오버까지 떙겨가면서 쓸 이유도 없고,

현재 사용 시에 불편한 점 등이 없는 상황이라면 그대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램클럭 차이로인한 성능차가 꽤 크기에,

게임을 하시거나 좀 더 고사양의 플을 돌려야 하는 경우라면 고려해보셔도 되지만

그런 게 아니라면 그냥 현재 상태로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게임이라고는 디아블로2와 스타리마스터 정도 하는데 PC견적 하고 가격이 궁금해서요.

디아블로2 리마스터도 나온다고 이야기를 들었는데

전 그냥 기존 디아2만 하는 편이구요.

게임은 딱 이 두가지 외에는 하는 게 없고

그 외에는 문서작업 정도만 합니다. 

모니터 24인치로 보니까 한 10만원대 후반 정도에 살 수 있는 제품도 있던데요.

혹시 이 정도면 60언더로 맞출 수 있을까요?

 

 

우선 모니터의 경우를 20언더로 잡은 상황이라면

라이젠 3400G나 라이젠 4350G CPU를 통해 내장그래픽 활용해도

해당 게임은 충분히 돌리실 수 있을 것으로 생각이 듭니다.

여기에 비용 절약을 위해서 320보드 정도에  램 4GX2 조합으로보시면 

말씀하신 게임은 무리없이 돌아갈것으로 판단됩니다 .

윈도우도 현재 정품있으신 경우라면

이정도로 맞추면 60언더로 가능할거에요.

 

반응형
  
반응형

조립을 할 때 보면,

조립 부품에 쿨러가 있는 경우가 있고 없는 경우가 있더라구요?

PC 조립 견적을 낼 경우에는 쿨러는 필수 인건가요?

 

말씀 하신 부분은 일반적으로 견적에 포함되는 사제 쿨러 말씀하시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사제의 경우에는 기쿨 제공되는 CPU는 따로 안시켜도됩니다. 
기본쿨러가 좀 애매하거나 오버 고려하시면 사제 하시는게 좋습니다.

 

 

그럼 CPU쿨러 기본으로 제공되는 쿨러와,

한 만원~3만원 사이의 가성비 사제 쿨러랑 비교하면

그래도 사제 CPU 쿨러가 더 성능은 좋은 건가요?

 

 

맞습니다. 예전에 비해 기본 쿨러의 성능도 상당히 좋아지기는 했지만,

발열이 심한 CPU를 활용하게 되거나,

오버클럭등을 고려하는 경우라면 사제 쿨러 활용이 더 효율적이구요.

가성비 쿨러라 하더라도 말씀하신 한 1~3만원정도의 CPU사제 쿨러가

기본제공되는 쿨러보다는 대부분 성능은 좋은 편이라 보셔도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컴퓨터 곧 장만할 예정인데 견적을 낼 경우 호환성 문제를 따져봐야 하더라구요?
지식이 좀 부족해서 나름 공부하면서 짜야할 듯 한데

 쓸데없이 가격 높은 제품은 없는 지 등도 봐야하고 일반적으로 호환은 어떤 걸 많이 보나요?

 

견적을 낼 경우에 기본적으로는 보드와 CPU호환을 보기는 합니다.

여기에 SSD는 m.2방식 사용이 가능한지

램은 어떤걸 쓸수 있는지 등도 확인을 해봐야하는 부분이구요.

호환성 뿐만 아니라

CPU대비 그래픽카드 성능만 너무 높거나,

그래픽카드 대비 CPU성능만 너무 높을 경우

 제대로된 효율을 낼 수 없는 경우도 많기에, 

특히나 게이밍 컴퓨터 조립의 경우라면

CPU와 그래픽카드 등의 밸런스도 잘 확인을 하셔야합니다.

 

흔히 병목현상이라 이야기하는 부분에 대해서 신경을 어느정도 쓰셔야합니다.

요즘같이 그래픽카드의 시세 자체가 너무 오른 상황에서는 더욱

적절한 그래픽카드의 선택은 필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블랙박스 화질은 분류가 어찌 되나요? 종류가 엄청 많은거같은데 대표적인게 FHD인가요?

 

 

기존에는 화질이 딱 몇가지로 분류가 되었는데 

요새는 분류도 다양한 편이긴한데 큰 틀에서보면 결국에는

HD FHD QHD 4K 정도로 분류 된다 보시면 될겁니다.

물론 이경우에도,

해상도가 전방과 후방이 다른 경우도 있고

일반적으로 동일한 해상도라 하더라도

전방쪽이 후방보다는 화질이 좋은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화질의 경우에는 단순히 해상도만 참고할 것이 아니라,

이미지센서나 영상처리나 보정 등에 대한 것도 자세히 살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동일한 해상도라 하더라도 영상의 퀄리티 차이가 나는 경우는 상당히 많습니다.

 

반응형
  
 «이전 1 2 3 4 5 ··· 20  다음»